무언가에 답답하고, 지금 이 삶이 전부가 아닌 것 같을 때. 영화 ‘시동’은 바로 그런 순간에 공감해 주는 이야기입니다.
2019년 12월 개봉한 영화 ‘시동’은 웹툰 원작을 바탕으로 한 성장 드라마이자, 청춘에 대한 유쾌한 위로를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처음엔 단순히 웃긴 청춘 코미디로 시작하지만, 영화가 끝날 때쯤엔 묘하게 따뜻하고 진지한 여운이 남는 영화.
그게 바로 ‘시동’입니다.
엄마 잔소리에 지쳐 집을 뛰쳐나간 아이, 그다음은?
영화의 주인공은 정필(박정민).
공부도, 진로도, 딱히 하고 싶은 일도 없고, 그냥 집이 싫은 고등학생입니다. 엄마(염정아)의 잔소리와 반복되는 일상에 지친 그는 결국 집을 나와 떠돌기 시작하죠. 친구 상필(정해인)은 싸움 좀 한다는 동네 친구로, 정필과는 다른 길을 걷고 있습니다.
이 둘의 이야기는 단순한 탈출로 시작되지만, 각자가 부딪히는 현실과 감정은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정필은 우연히 찾은 ‘장풍반점’이라는 중국집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되며, 이곳에서 거구의 요리사 ‘거석이형’(마동석)을 만나게 되죠. 처음에는 장난처럼 일하지만, 점점 자신이 몰랐던 감정과 현실의 무게를 느껴가게 됩니다.
마동석, 염정아, 박정민, 정해인… 연기 앙상블의 재미
‘시동’은 배우들의 조합만으로도 보는 재미가 충분합니다.
특히 마동석이 연기한 ‘거석이형’은 기존의 이미지와는 다른 신선한 충격을 줍니다. 분홍색 앞치마에 묶은 머리, 걸쭉한 욕과 함께 나오는 따뜻함까지. 그의 연기는 단순히 웃기기 위한 요소를 넘어서, 주인공 정필의 성장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염정아는 억척스러운 엄마 역할을 현실감 있게 소화하며, 실제로 우리 주변에 있을 것 같은 어머니의 모습을 그려냅니다.
박정민은 특유의 능청스러움과 불안정한 청춘의 감정을 절묘하게 표현하며, 관객들이 정필에게 쉽게 이입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죠.
또한 정해인은 평소 부드러운 이미지와는 다르게 거친 캐릭터를 소화하며 반전 매력을 보여줍니다.
이렇듯 배우 각각이 가진 개성과 연기력이 조화를 이루며, 이야기의 몰입도를 더욱 높여줍니다.
유쾌한데, 현실적이고, 따뜻한 영화
‘시동’은 가벼운 듯 보이지만, 결코 단순하지 않은 영화입니다.
청춘들의 혼란, 부모와의 갈등, 사회의 차가움, 그리고 결국엔 다시 돌아가야 할 삶의 자리까지. 그 모든 것을 위트 있게 풀어냅니다.
특히 인상적인 건, “도망쳤던 곳이 결국은 다시 돌아갈 자리”라는 메시지입니다.
정필이 느낀 갈등과 외로움은 우리 모두가 한 번쯤 겪는 감정이고, 그 안에서 성숙해 가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그려집니다.
그리고 영화는 이런 현실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봅니다. 잔소리로만 보였던 엄마의 말, 괴짜 같던 거석이형의 행동이 모두 정필을 향한 ‘다른 방식의 응원’이었던 거죠.
‘시동’은 그런 영화입니다.
크게 울리지 않지만, 잔잔하게 마음을 두드리는 영화. 지금 멈춰 서 있는 사람에게 “괜찮다”라고 말해주는 영화죠.
마무리하며 – 어쩌면, 우리 모두의 시동은 아직 걸리지 않았다
‘시동’은 성장의 순간을 유쾌하게 담아낸 작품이지만, 단순히 청소년만을 위한 영화는 아닙니다.
어른이 된 지금도, 우리 모두는 여전히 방황하고 고민하며 살아가니까요.
혹시 지금 마음이 복잡하거나, 어디론가 도망치고 싶은 기분이라면, 이 영화를 한 번 보시길 추천합니다.
다 큰 어른에게도 충분히 의미 있는 이야기로 다가올 거예요.
그리고 언젠가 나도 다시 ‘시동’을 걸고 나아갈 수 있겠다는 작은 용기를 얻게 될지도 모릅니다.